본문 바로가기

산이야기

등산과 지도 - 독도법

등산과 지도

"등산은 길이 없는 곳에서 시작한다"는 말이 있다. 다시 말해 사람들이 많이 다녔던 산길만 찾아다니면 진정한 등산의 세계를 느낄 수 없다는 뜻이다. 길이 없는 곳을 산행하기 위해서는 지도와 나침반을 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런 능력이 없다면 이미 가 본적이 있는 곳만 찾아가거나, 다른 사람의 뒤를 따라 가거나, 등산로 안내 표지판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독도법을 어렵게만 생각해서 배우려고 들지 않는다. 그러나 독도법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어려운 것만은 아니다. 끈기를 가지고 차근차근 원리를 이해하고, 연습해서 경험을 쌓는 다면 지도에 있는 등고선만 봐도 능선과 계곡이 산에서 직접 보고 있는 것처럼 떠올릴 수 있는 독도법의 달인이 될 것이다.
독도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많은 것을 알아야 하고 경험도 쌓아야 한다. 또한 깊게 들어가면 사실 어려운 내용도 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모든 것을 완벽하게 알고 독도를 할 수는 없다. 따라서 초보자들은 기본이 되는 것만 이해하고 난 다음 차츰 경험을 쌓아가며 공부를 계속해 나가면 된다.

등산의 참 맛을 모르는 사람들은 곧 잘 "사서 고생을 한다"는 말을 한다. 이런 사람은 대개 한 두 번 산행을 해 본 적은 있지만, 다녀온 산에 대해 아는 것이라곤 이름정도인 사람들이다. 이들은 앞사람의 꽁무니만 쫓아다니며 땀만 흘렸기 때문에 당연히 고생스런 기억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자기 스스로 가보고 싶은 산을 골라 일정과 코스를 선택하고 먹을 것과 장비를 준비하고 지도라도 한 장 들고 길을 찾아가며 다녀왔다면 고생스런 기억보다는 즐거웠던 기억이 더 클 것이다. "이 계곡 옆으로 난 길을 1시간 정도 오르다 보면 능선에 닿겠지. 그리고 30분만 더 가면 지도에 표시된 샘터가 나타나고, 그곳에서 점심을 먹어야지. 그런데 샘터는 눈에 잘 띌까? 간판을 달아 놓지는 않았을 텐데..." 이렇게 이것저것 살피면서 오르다 보면 힘든 것도 잊은 채 골짜기와 능선 하나 하나가 알 수 없는 정감으로 다가오게 되는 것이다.
사실 오르는 것만을 생각한다면 등산은 즐거울 수 없다. 진정한 등산의 즐거움은 이렇게 새로운 산을 찾아 계획하고, 준비하고, 상상하고, 실행하며, 정리. 기록하는 과정 속에 숨어 있다. 관광버스 타고 안내인을 따라 다녀오는 것보다는 자기 스스로 다녀오는 것이 더욱 등산의 참 맛을 느낄 수 있다.
처음에는 제법 알려진 산의 등산용 지도를 구해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안전한 산길을 골라 등산을 시작하고 차츰 산행횟수와 경험을 쌓다보면 지도를 보며 길을 찾는 것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때쯤 되면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코스는 지루하다는 느낌도 들기 시작하고 지도 한 장만 있으면 어느 산이라도 자신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등산을 하기 위해 지도는 꼭 필요한 것이다. 지도를 볼 줄 모른다면 등산가라고 할 수 없다. 또한 "나는 등산가도 아니고, 가끔 내가 좋아하는 산을 찾아가는 정도이기 때문에 굳이 지도가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도 지도를 볼 수 있는 능력은 꼭 필요하다. 그 이유는 지도와 함께 하는 산행은 또 다른 등산의 묘미를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짙은 안개가 끼거나 비바람, 또는 눈보라가 몰아지고 어두운 밤이 되면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산행경험이 많은 사람들도 조난을 당하기 쉽다. 이런 극한 상황에서 지도와 나침반은 자신의 위치를 확인해주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주는 등대와 같은 역할을 해준다.
 

7.2 지도란?
지도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관한 모습과 사물, 여러 가지 정보를 나타낸 것으로 위에서 내려다 본 모양을 일정한 축척에 맞춰 규정해 놓은 여러 가지 기호와 선과 색, 도형으로 표시해서 평면상(종이)에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 3차원의 입체적인 지구표면을 2차원의 평면으로 줄여서 나타낸 것이다.
지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항공촬영을 하거나 고 해상도 카메라가 달린 원격탐사용 인공위성에서 받은 영상자료를 사진과 필름을 만들고 지상 기준점과 사진 기준점을 측량한 다음 지형과 지물, 등고선을 그리고 현지조사를 거쳐 편집, 인쇄 같은 여러 가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지도는 쓰이는 용도와 제작 방법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는데, 등산에 사용되는 지도는 국립 지리원에서 제작하는 지형도와 이를 기본도로 해서 보기 쉽게 만든 등산용 안내지도나 개념도 등이 있다.
등산 안내지도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들어지는데, 보통 등고선이 간단하게 표시되어 있고 높이별로 색깔과 음영을 주어 능선과 계곡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보통 안내지도는 등산로와 구간별 소요시간, 야영장, 샘터 등이 자세하게 나타나 있어 지도를 잘 볼 줄 모르는 초보자도 산행시간과 위치를 쉽게 알아볼 수 있어 편리하긴 하지만, 등고선이 자세하게 나타나 있지 않아 정확한 지형을 판단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런 등산용 안내지도는 등산 잡지에 실린 부록이나 책으로 만든 등산안내 지도책에서 구할 수도 있고, 등산로 입구에 있는 매표소 같은 곳에서 팔기도 한다.
전국의 이름 있는 산은 대부분 이 같은 등산용 안내지도가 만들어져 있지만, 등산에 알맞은 전국의 모든 산의 등산용 지도를 만든 것은 아니기 때문에 등산용 지도가 없는 산도 많이 있다.
그러나 지형도는 우리 나라의 모든 곳을 지도로 만들었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곳의 지도를 쉽게 구할 수 있다.
다만 지형도는 등산을 위한 정보를 알기 쉽게 나타낸 것이 아니라 복잡하게 보이는 등고선과 여러 가지 기호로 표시되어 있어 지형도를 이해하는데 어느 정도 지식이 필요하며, 지형을 정확하게 읽고 판단하기 위해서 앞으로 배울 지도 보는 법을 잘 익혀둘 필요가 있다.
 

지형도 (설악 1:25,000)


 
등산용지도
 
개념도
 

7.3 지형도
지형도란 지표면의 모든 상황을 항공촬영과 측량등을 통해서 정확히 나타낸 것으로 지형의 위치와 높이를 비롯하여 능선과 계곡, 도로, 인공시설등 자연과 인문적인 모든 정보가 함축성있게 표현된 지도로서 국토의 이용과 개발은 물론 각종사업에 필요한 국토의 기본이 되는 지도이기 때문에 어느 나라이든 국가에서 이를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다.

(1) 지형도의 종류

축척
명칭
도엽수
크기
도엽당 면적
지상 1Km당
지도상 거리
등고선
간 격
색도
1:5,000 대축척 지형도
17,000
55×44cm
약6㎢ 20cm 5m 단색
1:10,000 지형도(OL용)
5,531
55×44cm
약24㎢ 10cm 5m 5색
1:25,000 지형도(등산용)
769
55×44cm
약150㎢ 4cm 10m 4색
1:50,000 지형도(여행용)
239
55×44cm
약600㎢ 2cm 20m 4색
1:250,000 지세도
13
62×44cm
약13,000㎢ 0.25cm 100m 7색
(2) 지형도의 구입방법
우리나라 전역을 포함하는 지형도는 1:50,000이 239매, 1:25,000이 762매로 이루어져 있어, 원하는 산의 지형도를 구하자면 그 산이 포함된 지도의 지도번호나 지도명을 알아야 하지만, 산의 행정구역만 알아도 구입할 수 있다.
국립지리원에서 발행하는 지형도는 서울 종로구 공평동에 위치한 중앙지도문화사(730-9191-3)에서 판매를 대행하고 있는데, 전국 주요도시에 영업소가 있어 구입할 수 있다. 가격은 2만5천, 5만지도 모두 1매당 1,400원이다.(강남지도 515-0999)
전국의 어느 산이든 필요한 지형도를 쉽게 알아내기 위해서는 색인도를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 총13장으로 남한 전체가 다 나타나는 25만분의 1 지세도를 구입하여 가로 7등분, 세로 4등분 선을 그어 넣으면 이것이 5만 지형도의 도곽구획이 된다. 다시 5만지형도를 가로 세로 각각 2등분하여 선을 긋게 되면, 그 한 구획이 2만5천 지형도가 된다. 이곳에 각각 지도번호와 지도명을 적어 놓으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1:50,000 지형도

서울 도봉산 지역 1:5만 지형도로 같은 지역을 표시한 1:2.5만 지형도보다 1/4 적고 등고선의 정밀도도 떨어진다.
길이는 1/2이지만 면적은 1/4이 된다.

  1:25,000 지형도

도봉산 지역의 1:2.5만 지형도로 빨간색의 사각형은 아래 1:5천 지형도부분을 표시한 것이다.

  1:5,000 지형도

도봉산 지역의 1:5천 지형도로 단색이며 단독가옥이 표시될 정도로 상세하다.


7.4 지형도의 표기
(1) 난외주기
난외주기는 지형도를 보는데 있어 필요한 모든 참고사항을 지도의 도곽선 외부에 표기해 놓은 것으로써 지도의 명칭(도엽명)과 도엽번호, 색인도, 편차각도표, 행정구역색인표, 제작/인쇄/수정년도표, 축척, 범례, 좌표등이 적혀 있다.

(2) 지도명
지도의 상부여백 중앙에 큰 글씨(한자)로 표시되어 있다. 그 지형도안에 포함된 지역중에서 가장 유명한 지명이 선택된다. 지역중에 포함된 큰 부락이 없는 경우에는 그에 대신할 지명은 자연명칭에서 찾게 된다. 산이나 호수및 해안의 명칭등으로 표기할 수 있다.

(3) 도엽번호
도엽번호는 상부여백 오른쪽에 표기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국제지리학회에서 정한 만국색인번호인 것이다.
NJ52 - 9 - 11 - 2 고양
 
N
J
52
9
11
2
고양
북반구 지역
적도에서 북위4°마다(구역) 알파벳순으로 붙인 위도구역
경도180°선에서 동으로 6°마다 붙인 경도구역
1:25만 지세도의 지도번호
1:25만 지세도를 가로7등분, 세로4등분한 1:50000지형도의 지도번호(28번중 11번)
1:50,000지형도를 가로,세로 각 2등분한 1:25000지형도의 지도번호(4번중 2번)
지역명(지도명)

(4) 도엽색인도및 행정구역 색인도
도엽색인도는 해당지형도에 인접해 있는 지형도가 무슨 명칭의 지형도인가를 알려 주는 일람도이며, 행정구역색인도는 행정구역의 위치와 구획의 식별을 간단히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오른쪽 외도곽 아래에 그림으로 표시되어 있다.

(5) 지형도에 사용된 색의 의미
지형도는 지형지물을 상직적으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색깔을 사용하게 되는데,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흑색
문화적.인공적인 지물
청색
호수.강.늪과 같은 수리지형
녹색
수림.과수원등 식생지형
갈색
기복과 고저의 지형 (등고선)
적색
주요도로(포장), 밀집된 시가지형(인공물 밀집지역)

(6) 지도기호
지형도에는 하단부에 난외주기라는 란이 있고, 이곳에 여러가지 도로, 철도, 경계표시, 경작지, 시설물등을 기호로 표시한 설명이 있는데, 등산과 관계가 많은 도로기호등은 반드시 외워 두어야 한다.

삼각점
지도를 그리는 기준으로 삼각 측량을 해서 점의 위치를 경도와 위도 상으로 정확하게 결정해 놓은 지점을 말한다. 다른 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도 기준점의 역할을 한다.

수준점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높낮이를 결정하는 기준점으로 우리 나라의 삼각점과 표고점을 비롯해서 모든 높이는 이 수준점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표고점
수준점에서 측정한 높이가 정확하게 나타나 있는 지점으로 어느 지역의 높이를 알기 위해서 꼭 필요한 곳에 나타낸다.

지류
식물이 자라고 있는 땅의 상태나 그 식물의 종류를 말하며 그 지역의 주위를 지류계로 나타내고 그 안에 지류 기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타낸다. 평지와 산의 경계부분에 그려져 있는 지류는 대개 경작지와 산림의 경계를 뜻하므로 독도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7) 지형도에 없는 것
사실 등산을 할 때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산 속에 있는 산장이나 대피소, 천막을 칠 수 있는 장소, 비박할 수 있는 장소 같은 것들인데 지형도에는 이런 표시가 없다.
또한 사람들이 많이 다니지 않는 등산로라던가 능선, 계곡, 암벽, 샘터의 이름 같은 것도 자세하게 나타나 있지 않기 때문에 불편한 점도 있다.
하지만 지형도는 등산용 안내지도보다 정확한 지형과 높이를 알 수 있고 정확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등산에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형도를 이용해 등산을 하면서 자기 나름대로 지도에 필요한 것들을 자세하게 기록해 둔다면 그 어떤 지도보다 훌륭한 등산지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8) 제작, 수정, 인쇄일
우리 나라는 건축과 국토개발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얼마 전에 없었던 건물이 들어서 있는 경우도 있고 지도에 표시되어 있는 민가나 샘, 소로가 흔적도 없이 없어지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산중턱에 새로운 저수지가 만들어져 있기도 하고 산허리를 넘어가는 도로가 나 있어 허탈해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변화들을 그때마다 지도에 수정해서 발생하면 좋지만 사실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지도에 나타나 있는 내용이 조금 다르더라도 참고해서 봐야한다.
따라서 지도에 써 있는 마지막 수정 년도를 확인해 보고 너무 오래된 지도는 최근 지도로 바꿔서 쓰는 것이 좋다.
 

7.6 북쪽의 기준

북쪽은 모든 방향의 기준이 되는 방향인데, 혼란스럽게도 북쪽은 진북, 자북, 도북의 세 가지 북쪽이 있으며 가리키는 방향도 조금씩 차이가 있다.
지형도에는 이 세 가지 북쪽이 지도 아래 부분에 있는 난외주기의 방위표에 그려져 있는데, 그 이유는 국가마다 지역마다 자북과 도북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

진북
진북(眞北, True North)이란 항상 변하지 않는 북쪽으로 은하의 중심 쪽인 북극성의 방향이다. 지구가 속한 태양계는 은하를 중심으로 돌기 때문에 지구에서 볼 때 북극성을 변하지 않는 방향으로 정한 것이다.
진북의 방향은 지리적으로 북극의 방향이며 지리 좌표의 경선, 즉 자오선이 모이는 지점이 된다. 진북을 나타내는 기호는 '★'를 쓴다.

자북
자북(磁北, Magnetic North)이란 나침반의 N극이 가리키는 북쪽으로 북반구에 있는 캐나다 북쪽 허드슨만 부근 부샤반도 일대의 천연 자력지대를 가리킨다.
지구도 하나의 커다란 자석이기 때문에 지구 둘레로 자기장이 만들어지는데, 나침반의 바늘은 이 자기장을 따라 나란히 놓이는 것이며 이 때 지구 자기장이 북쪽으로 모이는 곳이 바로 캐나다 북쪽 허드슨만이기 때문에 나침반이 가리키는 자북과 북극성 방향인 진북 사이에 차이가 생기는 것이다.
자북을 나타내는 기호는 반쪽 화살 표시로 표시한다.
도북
도북(圖北, Grid North)은 지도상의 북쪽으로 지도의 직각좌표 수직방향, 즉 세로선의 위쪽이 도북에 해당된다.
지형도에는 도북선이 14.6cm 간격으로 두개가 있으며 좌, 우측의 지도 외곽 선까지 포함하면 모두 네 개인 셈이다. 다시 말해 지형도에 있는 세로 선은 모두 도북선 이라고 할 수 있으며 기호는 화살표시 '↑'나타낸다.

편차각
편차각이란 진북과 도북, 자북이 가리키는 북쪽의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 진북과 도북의 차이를 '도편각', 진북과 자북의 차이를 '자편각', 도북과 자북의 차이를 '도자각'(GM각)이라고 한다.
이 가운데 지형도를 볼 때 중요한 편차각은 도북과 자북의 차이인 도자각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등산을 할 때는 지도와 나침반을 주로 이용하고 지도에서 가리키는 북쪽과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의 차이만큼 오차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도자각은 각 나라마다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고 세월이 흘러가면서 조금씩 변해가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대체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올라갈수록 그리고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도자각의 차이가 크다.
우리 나라는 자북이 도북을 중심으로 서쪽으로 5°30′에서 8°30′정도 기울어져 있는데 이렇게 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지역을 서편각 지역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경인지역의 도자각은 서편각이 6°인데, 이것은 나침반의 자침이 지도상의 북쪽인 도북을 기준으로 서쪽방향으로 6°만큼 기울어져 가리키고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각 나라마다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정확한 편차각은 해당 지도마다 아래부분에 있는 난외주기에 측정 년도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7.7 등고선이란?
등고선은 높낮이가 있는 지표상에서 같은 높이인 곳을 연결한 선이라고 정의한다. 이 등고선은 지형의 기복과 고저를 알 수 있도록 평면에 표시한 것이기 때문에 지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아래 그림은 등고선의 작성원리를 보여 주는 것이다. 높이 10m간격으로 산을 절단한 외곽선을 평면에 옮기게 되면 서로 교차하거나 끊어지지 않는 폐곡선이 여러개 그려지게 된다. 이렇게 일정간격의 높이로 등고선을 그리다 보면 간격안에 있는 지형의 변화는 생략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실제지형으로 부터 등고선을 그릴수 있는 것과는 반대로 등고선으로 부터 실제지형의 모양을 입체적으로 만들거나 그려볼 수 있다.





등고선의 종류

등고선은 동일한 간격의 높이별로 되어 있는데, 축척별로 등고선의 높이간격이 차이가 있다. 보통의 지형에서는 계곡선과 주곡선만 표시되고 간곡선과 조곡선의 고저의 기복이 매우 적은 지형에서 간혹 사용된다.

구 분

1:5,000

1:25,000

1:50,000

1:250,000

선의 모양

계 곡 선
주 곡 선
간 곡 선
조 곡 선

25m
5m
2.5m
1.25m

50m
10m
5m
2.5m

100m
20m
10m
5m

500m
100m
-
-


2만5천 지형도의 등고선간격은 5만지형도와는 달리 계곡선 50m, 주곡선 10m로 제작되어 있어야 하나, 우리나라의 2만5천 지형도는 5만과 같이 계곡선100m, 주곡선20m의 간격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1992년도 부터 수정제작되는 지도에는 계곡선50m, 주곡선10m로 되어 있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7.8 등고선 보기

등고선의 특징

등고선은 지표면상의 어느 수평면을 자른 면이기 때문에 반드시 폐곡선(閉 曲線)이다. 어떤 등고선이든 지도상에 따라가면 돌고돌아 다시 원점으로 오게 된다. 다만 한장의 지형도에서는 도곽선의 경계에서 등고선이 끊기지 만 인접한 지형도를 연결하면 등고선도 연결된다.

등고선은 지형이 돌출되거나 절벽이 아니면 서로 합치지 않고 결코 다른 등 고선과 교차하지 않는다.

등고선의 간격이 좁으면 경사가 급하고, 등고선의 간격이 넓으면 경사가 완 만하다.

능선이나 분수령의 등고선은 V자 또는 U자 형태를 나타내는데, 방향은 높 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볼록하게 뻗어져 나간 형태이다.

하천과 계곡의 등고선은 '∧' 또는 '∩'의 형태를 나타내는데, 방향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볼록하게 파고 들어간 형태이다.


등고선의 간격과 경사

지형도상에서 어느 부분의 경사가 실제 몇도가 되는가를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서는 삼각함수표를 사용해야 되지만,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작도를 해보면 경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계산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등고선간격의 넓고 조밀한 정도에 따라 실제지형이 어느정도 경사인가의 감각을 실제 독도를 통해 익혀야 한다.

삼각함수계산에 의해 등고선 간격에 따른 경사도를 계산해 보면 등고선간격이
0.1mm 이면 경사도는 76도
0.2mm 이면 경사도는 64도
0.5mm 이면 경사도는 39도
1 mm 이면 경사도는 22도
2 mm 이면 경사도는 11도
5 mm 이면 경사도는 5도
10mm 이면 경사도는 2.5도가 된다.
이같은 계산은 2만5천이나 5만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7.9 등고선에 나타난 지형의 특징

산에서는 모든 지형의 형태가 봉우리, 능선, 계곡으로 이루어 졌다고 할 수 있다. 지형도에서는 등고선의 형태와 간격을 통해 이같은 지형의 높고 낮음, 넓고 좁음, 급하고 완만함등을 실제지형을 보는 것과 같이 판단할 수 있다. 아래 그림들은 산정, 계곡, 능선, 안부, 지맥등이 등고선상에 어떠한 형태로 표시되는 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7.10 지형도를 읽을 때 유의해야 할 점

지형도는 지표의 상황을 2만5천 또는 5만분의 1로 축소하여 만들어진 것이 기 때문에 지표상의 모든 것을 사실 그대로 다 표시하기 곤란한 점은 적절히 삭제되거나 생략, 과장된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지형도가 편집되고, 수정되고 인쇄된 년도를 살펴 보아야 한다. 인쇄된 년도 는 중요하지 않고 몇년도에 최종수정되었나 보아야 한다. 그 지도의 내용은 최종수정년도 이전의 상황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인적이 드문 산악지대등에 표시된 소로등은 오랫동안 사람의 왕래가 없으 면 흔적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길이 없어지게 된다. 화전민이 많았던 시절 에 이용되던 소로가 지금까지 지형도에 표시되고 있지만 실제 가보면 흔적 이 없어진 길이 많다.

지형도상에 표기된 산의 명칭이나 지형지물의 기호, 명칭등이 오기 또는 누락되거나 위치가 잘못 되어 있는 부분도 간혹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7.11 나침반이란?

1. 나침반의 역사와 원리

종이, 화약과 더불어 중국 3대 발명품중의 하나인 나침반(羅針盤)은 언제 누가 발명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기록에 의하면 B.C1,500년경 중국에서 자석이 쇠를 끌어 당기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하나 그 지북성(指北性)은 좀 더 뒤에 발견한 듯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에 패철(佩鐵)이라는 나침반을 사용하였다고 하며 지금도 풍수지리를 보는 지관들이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중국의 나침반은 1260년대 마르코폴로가 유럽으로 전했다고 한다.
나침반은 자기(磁氣)를 쇠막대(침)이 지구라는 커다란 자석에서 생기게 되는 자장(자기자오선)을 따라 일정하게 남과 북을 가리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지구의 자북(캐나다 허드스만 북쪽)을 가리키는 자침쪽을 N극, 반대쪽은 S극으로 표시한다.


2. 실바 나침반 (Silva Compass)

(1) 유 래
실바(Silva)라는 말은 고대 그리스어 실바(숲의 여신)에서 유래한 스웨덴어로 숲을 뜻한다. 이 나침반은 1930년경에 스웨덴의 첼스트롬(Kjellstrom) 3형제가 오리엔티어링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이전의 나침반을 보완하고 여러가지 기능을 추가시킨 것으로 본래는 오리엔티어링용이지만 등산에서도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 실바나침반이 독도의 표준 나침반이 되다시피 했다. 실바나침반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Type 2, 4, 5등이 독도에 가장 편리한 나침반이다.
(2) 나침반의 명칭
SILVA Type 2 나침반

① 북방지시 화살표
② 자침
③ 자
④ 확대경
⑤ 축척자
⑥ 진행선
⑦ 기저판
⑧ 다이얼 눈금
⑨ 보조지시선(보조선)
⑩ 나침반집
⑪ 끈
⑫ 눈금테
(3) 구조 이해

나침반의 다이얼을 돌려보면 자침은 돌지 않고 다이얼의 눈금과 북방지시화살표가 같이 움직이게 되어 있다. 다이얼 눈금밑에 위치한 하얀색의 눈금테는 다이얼과 함께 돌지 않으며, 진행선과 같은 방향으로 일치되어 있다. 여기서 숙지할 것은 다이얼을 임의대로 돌렸을 경우, 눈금테에 의해 읽혀지는 각도는 북방지시화살표와 진행선사이의 각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북방지시화살표와 보조선은 평행이라는 점, 진행선과 진행선 양쪽의 가는선 그리고 자가 있는 나침반 양쪽면은 모두 평행이라는 점도 알고 있어야 한다.
자침은 자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빨간색쪽이 항상 북쪽(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은 자북이며 캐나다 허드슨만 북쪽을 가리킨다)을 가리키게 되어 있다. 자침이 들어있는 나침반집속에는 특수기름이 들어 있어 자침의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자침이 빨리 정지하게 되어 있다. 나침반을 사용할때 가까운 곳에 쇠붙이,전자제품등이 있으면 자침은 엉뚱한 곳을 가리킨다.
 

7.12 자북선 긋기

자북선이란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의 선을 말한다. 우리가 어느 곳에 위치하여도 항상 일정하게 북쪽을 즉시 알려주는 것은 북극성도 도북선도 아닌 나침반이다. 그런데 사용하는 지도의 북쪽방향(도북선) 나침반의 북쪽방향(자북선)은 도자각만큼 차이가 있어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지도에 자북선을 미리 그어 놓는 다면 사용하는데 매우 편리하다.

① 지도의 하단 방위표에 표시된 도자각을 확인한다. (아래그림의 예제에서는 서편각 7°이다)
② 나침반의 진행선(눈금테)에 (360˚- 도자각)의 각도를 맞춘다. 즉, 도자각이 7˚라면 360˚- 7˚= 353˚
③ 나침반의 북방지시화살표 또는 보조지시선을 도북선(경선)에 일치시킨다.
④ 나침반의 좌우변에 선을 그으면 자북선이 되며 이 자북선은 도북선과 도자각( 7˚)만큼 기울어져 있게 된다.

지도를 구입한 후 미리 자북선을 그어야 하는데, 보통 3cm간격으로 평행을 이루는 자북선을 그어 놓으면, 나침반을 사용하는데 편리하다. 자북선은 지도 전체에 그리지 말고 자신이 사용할 지역만 그려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7.13 지도 정치하기

실제지형의 동서남북과 지도의 동서남북이 서로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독도를 제대로 할 수 없다. 지도를 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도와 실제지형의 방향을 일치시켜 놓아야 하는데, 이것을 지도정치(正置)라 한다.

① 지도에 미리 그어놓은 자북선과 나침반의 북방지시화살표 또는 보조지시선이 일치되게 나침반을 올려 놓는다. 이때 다이얼의 눈금은 중요하지 않다.

② 나침반이 움직이지 않게 지도를 돌려 자침과 북방지시화살표가 일치되게 한다.

③ 주의할 점은 화살표 방향으로 빨간자침이 가도록 해야 남과 북이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도정치를 하는 방법은 위와 같은 방법외에 나침반의 자침과 지도상의 자북선을 일치시키기만 하면 된다.




이렇게 지도정치를 한 후 실제지형과 지도를 비교해 보면, 지도상의 봉우리, 능선, 계곡등이 실제지형의 방향대로 잘 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독도를 하는데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바로 이 지도정치이다. 운행을 하며 계속 지도정치와 실제지형비교를 해 가면, 자신이 어느 능선, 어느 계곡, 어느 길을 따라 왔는지, 자신이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7.14 방위각이란

지도상에 있는 이 봉우리는 실제 어느 방향에 있을까?(지도상에서의 방위각 측정)' 'A라는 목표지점으로 가야 하는데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하나?(방위각 진행)' '저멀리 보이는 봉우리는 지도상의 어떤 봉우리인가?(현장에서의 방위각 측정)' 독도를 하다보면 이러한 의문과 문제가 풀어야 할 때가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익히기 전에 먼저 방위각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방위각의 의미를 풀어서 쉽게 설명하면, 방위각은 나의 위치를 기준으로 어느 특정지점이나 방향이 북쪽으로 부터 시계방향으로 돌아간 각도이다. 이때 기준이되는 북쪽은 진북, 도북, 자북이 있는데, 보통 자북방위각을 많이 사용한다. 시계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12시방향은 자북 즉 방위각 0˚=360˚, 3시방향은 방위각 90˚, 6시는 180˚, 9시는 270˚, 5시는 150˚이다.
 

7.15 지도상의 목표지점 찾아가기

지도상에서의 목표지점 찾아가기는 지도상의 나의 위치(A지점)에서 지도상에 있는 목표지점(B지점)을 찾아 가는 방법이다.
즉 나의 위치(A지점)은 알고 있지만 목표지점(B지점)은 어느방향으로 가야하는가를 알아내는 것이다.
이 방법은 먼저 지도상에서 나의 위치(A지점)와 목표지점(B지점) 간의 방위각을 측정하고, 실제 현장에서 측정된 방위각으로 진행하여 목표지점(B지점)를 찾아가는 것이다.


(1) 지도상의 방위각 측정

① 지도상에서 현재 나의 위치와 가고자하는 목표지점을 찾는다. (A, B지점)
② 나침반의 우변(또는 좌변)을 현재 위치(A지점)에서 B지점에 맞춘다. 이때 반드시 진행선의 화살표(나침반 가운데 큰 화살표)방향이 B지점방향으로 되게 나침반을 위치해야 한다.
③ 나침반의 다이얼을 돌려 다이얼원 안에 있는 북방지시화살표(또는 보조지시선)와 미리 그어놓은 자북선(빨간선)과 일치(또는 평행)되게 한다. 이때 북방지시화살표의 화살표 방향이 자북선의 북쪽으로 향하게 해야 한다.
④ 나침반의 진행선(눈금테)에 나타난 다이얼의 숫자가 현재 위치(A)에서 목적지(B)의 방위각이다. 즉 현재위치로 부터 B지점은 자북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48˚만큼 돌아간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만약 자북선을 미리 그어놓지 않은 상태라면 도북선을 기준으로 방위각을 측정한 다음, 도자각(도북과 자북의 편차)을 측정된 방위각에 더해주면 자북선 기준 방위각이 된다.



(설명)
이러한 지도상의 방위각 측정방법을 이해하지 않고 무조건 외우게 되면, 곧 잊어버리게 되고 응용능력이 없게 된다. 처음 접하는 사람은 매우 복잡하게 느껴지지만, 원리를 알고 나면 매우 간단하하다. 문제해결의 핵심은 A와 B지점의 방위각을 측정하는 것이다. 방위각이란 B지점이 A지점으로 부터 북쪽(자북)에서 몇도만큼 시계방향으로 돌아갔나?인 것이다. 이것은 나침반을 사용하지 않고 각도기를 사용하여 간단히 측정할 수도 있다. 자북선은 미리 그어져 있고, 자북선을 0도로 하여 A와 B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면 바로 이것이 A->B의 방위각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나침반을 사용하는 것은 실제 현장에서 각도기까지 휴대하기 불편하므로 나침반을 각도기처럼 사용하여 방위각을 측정하는 것이 위에서 설명한 방법이다. 나침반의 구조를 잘 살펴서 어떻게 각도기로 사용되었는가를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2) 현장에서의 방위각 진행

이렇게 지도상에서 측정된 방위각은 '지도상의 xx봉은 실제 어느 방향에 있나?' '지도상의 B지점으로 가려면 실제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하나?'등에 이용된다. 즉, 측정된 지도상의 방위각 방향을 현장에서 찾아내는 것이다. 이것이 현장에서의 방위각 진행이다.

① 지도상에서 측정된 방위각만큼 다이얼을 돌려 눈금테에 맞춘다. 바로 측정한 상태라면 돌릴 필요가 없이 맞추어져 있을 것이다.
② 나침반을 왼손에 들고 가슴의 중앙 앞부분에 위치한 다음, 북방지시화살표 (또는 보조선)와 빨간자침(북침)이 일치하도록 몸을 돌린다.
③ 나침반의 진행선방향이 지도에서 측정한 목표지점의 방향이며, 북방지시화 살표와 북침을 일치시킨 상태로 진행하면 목표지점에 도달한다.

그러나 실제 산행에서 이와같이 방위각방향으로 진행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등산로는 직선으로 나 있는 것이 아니고, 목표지점을 직선으로 진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목표지점의 방향을 확인하고 그쪽방향으로 나 있는 길을 찾아내서 길을 잡는 정도로 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7.16 현장의 목표지점 지도에서 찾기

현장의 목표지점을 지도에서 찾기는 예를 들어 "저멀리 보이는 저 봉우리는 지도상의 어떤 봉우리인가?"라는 문제를 푸는 것이다. 먼저 찾고자 하는 목표지점의 현장 방위각을 측정하고, 지도상의 나의 위치에서 측정된 방위각방향을 그려보고 그 방위각방향선상에서 등고선을 살펴보아 목표지점을 찾아 내는 것이다. 이방법은 먼저 자기위치를 지도상에 정확히 표시할 수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1) 현장의 목표지점 방위각 측정

① 현재위치에서 나침반을 왼손에 들고 눈과 나침반의 진행선과 목표지점이 직선이 되도록 일치시킨다.

② 일치된 나침반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며 다이얼을 돌려 북방지시화살표와 북침이 일치되도록 한다.

③ 나침반의 진행선(눈금테)에 나타난 숫자가 현재 위치에서 목표지점의 자북 방위각이다.
(여기서는 측정된 방위각이 322도이고, 도자각은 서편각 7도이다)












(2) 목표지점 지도에서 찾기

현장에서 측정된 목표지점의 방위각을 지도상에서 대충 가늠해 보면 목표지점이 지도상의 어느 곳인가를 알 수 있다. 즉 지도상 나의 위치에서 방위각방향의 등고선을 살펴보며 목표지점의 거리와 등고선 특징을 종합해 보면, 목표지점을 지도상에서 찾아낼 수 있다.
정확하게 찾아내는 방법은 지도상에서의 방위각 측정방법과 비슷하다.

① 측정된 방위각만큼 다이얼을 돌려 눈금테에 맞춘다. 바로 측정한 상태라면 돌릴 필요가 없이 맞추어져 있다.

② 지도상에 현재 나의 위치를 찾는다.

③ 나침반의 좌변(또는 우변)의 아랫부분을 현재 위치에 대고, 이것을 중심축으로 하여 나침반전체를 돌려 북방지시화살표(또는 보조지시선)와 자북선이 일치되게한 다음, 좌변에 직선을 긋는다. 이때 반드시 진행선의 화살표 방향이 목표지점방향으로 되게 나침반을 위치해야 한다.

아래 그림에는 자북선이 그려져 있지 않고 도북선만 있기 때문에, 북방지시화살표를 도북선에 맞추어야 하는데, 이때는 측정된 방위각에서 도자각 7도를 빼주어(322도-7도) 다이얼 눈금을 315도로 조정하고 도북선과 북방지시 화살표를 일치시키면 된다.

④그어진 직선상에 목표지점이 있으며, 측정한 방위각 만큼 자북선에서 부터 시계방향으로 돌아간 각도방향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방향선상에서 등고선의 특징과 거리를 살펴보아 목표지점을 찾아낸다.


3--------------------------------------------------------------------------------------=

   

그러므로 OL을 잘하려면 지형도를 잘 읽어야 한다. 일반인 들이 사용하는 지도는 1/25,000 - 1/50,000이 가장 보편적이며 이를 잘 읽기 위하여 다음 몇 가지를 익혀야 한다.

1) 지도의 축척을 파악하여 지도에서 1cm가 실제거리 몇 m 인지 미리 계산 해두어야 한다.
2) 지형도 상에서 내가 서 있는 위치와 통과지점 그리고 최종 목적지의 주변 상황을 정확히 기억하도록 한다.
3) 지도 속에 표현되어 있는 직각좌표의 grid간격(1 km)을 잘 활용한다.
4) 등고선의 표현방법과 성질을 익혀서 산정, 안부, 계곡(수계), 능선(산계), 절벽, 급경사지, 완경사지에 대한 판단을 빨리 해야한다.
5) 지도의 방위는 위쪽이 북쪽이다. 나침반을 잘 정치하여 동서남북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익혀서 하늘이 보이지 않는 숲 속에 들어 가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찾아 나갈 수 있어야 한다.
6) 지도상에 표현된 각종기호를 익혀서 코스 주변의 지형 지물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7) 멀리서 볼 수 있는 산정, 능선의 독립수, 큰 바위 또는 군락을 이루고 있는 수목의 종류나 논밭의 규모와 생김새를 기억하면 도움이 된다.
8) 만약 A지점에서 B지점으로 횡단하려고 할 때는 3-5개 정도의 코스를 지도에서 생각할 수 있다. 이때 빨리 경로를 결정하는 순발력은 지도를 정확히 읽는 길밖에 없다.

3. 북쪽은 어디인가?
 
각 나라마다 국지적으로 지도를 만드는 사람들은 나침반 바늘이 가리키는 북쪽(자북 :MN)을 기준하여 지도를 만들지 않는다. 왜냐하면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인 자북(Magnetic North)은 지구의 회전 중심인 북쪽(북극점), 즉 북극성 방향의 진북(True North)과 지도가 가리키는 도북(Grid North)과 틀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도상에서 나침반으로 방위각을 알려고 할 때는 자북선을 기준해야 되기 때문에 나침반이 가리키는 화살의 방향과 지도상에서 나타내는 북쪽간에 차이를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3개의 북은 항상 일치하지 않고 편차를 나타낸다. 진북과 도북의 차이를 도편각(Grid Declination)또는 자오선수차(子午線收差)라고 하며 진북과 자북의 차이를 자편각 또는 자침편차(子針偏差)라 부르며 진북과 도북의 차이를 도자각(圖磁角)이라고 한다. 우리 나라의 도자각은 서편으로 약 6˚ 기울어져 있으며 편위의 양(量)은 각 장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지도와 함께 나침반을 사용할 때는 약간의 조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3가지 방법을 이용한다.

1) 시중에 있는 일반적인 나침반을 이용한다면 편차의 양을 암산으로 가감해야 한다.
2) 실바콤파스를 이용한다면 나침반의 다이얼을 돌려서 편차각을 미리 Setting할 수 있기 때문에 판독이 용이하다.
3) 또는 지도를 직접 이용할 수 있다. 지도의 난 외에 나타나 있는 자침편차표(Diagram)에서 자북(MN)선을 도곽선 내의 지도까지 연장하여 선을 그린다. 이때 그려진 선을 기준으로 2초 간격으로 평행선을 그리자. 이 방법은 지도와 나침반의 편차 모두를 조정한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방법에 의해 자북(북쪽)이 어딘가를 알 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우리 나라의 도자각이 6˚이므로 나침반 틀을 돌려 354˚(360˚ - 6˚)에 맞추고 지도상의 경선과 나침반의 북방 지시선이 평행하도록 맞춘다. 이때 북방지시 화살표가 가리키는 북쪽이 지도의 북쪽이 되게 하고 나침반의 긴 변을 따라 자북선을 그으면 된다. 실제의 자북점은 북극점에서 남쪽으로 약 1,300km 떨어진 캐나다의 Ellef Ringers Is(1997년 : 북위 75˚ 서경 100˚)부근에 위치하여 매년 조금씩 그 위치가 변하고 있다.

4. 지도 없이 나침반 사용하기
 
만약 당신의 손에 지도가 없이 나침반만 있다면 원하는 방향을 찾아 갈 수 있을까?
1) 먼저 당신이 여행하려는 루트를 따라 지표(Landmark)를 선택하자. 지표는 멀리 있는 산정이나 독립수, 바위, 계곡 등 특징 있는 목표물을 이용하면 된다. 나침반을 손위에 수평으로 놓고 처음 선택한 지표를 향하여 travel arrow의 방향을 지정하자.
2) 적색 바늘 끝이 N에 정치될 때까지 나침반의 분도반을 돌리자. 이때 분도반(인덱스)에서 확인한 각도를 읽고 방향을 익혀두자
3) 나침반의 바늘이 N에 정치된 상태로 처음 본(읽은 각도)지표를 항하여 걸어가자. 그러면 당신이 숲속이나 골짜기로 내려 가더라도 처음 본 지표(목표물)에 도달할 것이다. 최종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만약 어떤 여행에서 각도만으로 방향이 주어졌다면, 그 각도만큼 방향을 돌려서 찾아갈 수 있다. ① 먼저 주어진 각도를 맞춘 다음 travel arrow의 방향으로 나침반의 적색 바늘의 끝이 N에 정치할 때까지 몸을 돌려라. 그러면 목표하고 있는 여행방향에 서 있게 될 것이다. ② 그런 다음, 그 직선 방향에 나타난 특정한 지표를 인지하고 이동해야 한다. 당신이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면 처음 주어진 방향으로 가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자북방위각이 50˚라면 분도반의 틀을 돌려 50˚에 맞추고 진행화살표(travel arrow)가 가슴 앞쪽에 되게 선다. 몸을 서서히 돌려 자침의 북쪽과 나침반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전방의 목표물을 익히고 그 연장선상으로 진행하면 된다. 또 출발점으로 되돌아오기 위해서는 ① 당신 쪽으로 travel arrow의 방향을 가리키게 하고 나침반의 적색바늘 끝을 N과 정치시켜 Backtrack한다. ② 나침반의 다이얼에서 N과 바늘을 재일치시키고 반대편의 새로운 지표를 선택하자. 처음 출발점으로 되돌아 올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이때도 진행한 각도가 50˚라면 나침반과 몸 전체를 180˚ 돌려서 북방지시 화살표의 북쪽과 자침의 남쪽(흰 바늘)을 겹치게 할 때 그 방향이 출발점의 방향이 된다.

5. 실바콤파스의 이용
 
앞에서 지도가 없이 Compass만 가지고 있을 때 사용하는 방법을 간략히 알아보았다. 그러나 콤파스를 지도와 함께 사용한다면 더욱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반세기 이상 실바콤파스는 도보 여행자나, 모험가, 탐험가들에게 가는 방향을 알기 위한 방법과 되돌아오는 방법을 알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 중에 특히 [1-2-3 단계의 실바시스템]이 세계적으로 폭 넓게 사용되어 왔는데, 당초에는 군인들의 교육에서 처음 시도되었으나 그 조작 방법이 간단하여 지금의 OL은 물론 방향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실바시스템 1-2-3단계]는 ① 출발하고자 하는 장소와 목표하고 있는 도착지(가고자 하는 곳)를 연결하는 선을 지도 위에 그은 다음 그 선에 평행하게 실바콤파스를 위의 그림과 같이 올려놓는다. ② 지도상에서 N가 자북(MN)에 정렬될 때까지 나침반 다이얼을 돌려 방향을 맞춘다. ③ 일직선으로 된 travel arrow의 방향으로 몸을 돌려 지표(목표물)을 맞춘다. 이때 적색 바늘의 끝을 N쪽으로 맞추고 화살표와 일직선으로 겹쳐질 때까지 몸을 돌려야 한다. 그러면 travel arrow의 방향이 지금 당신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향하여 정확하게 정치되어 있다. 이때 지표를 보고 이곳으로 걸어가자. 당신은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만약 숲 속에서 길을 잃어 버렸다고 상상해 보자. 아무도 없는 숲 속에서 점점 어두워지고 예상 밖의 억수같은 비가 내리고 머리를 돌려 주위를 돌아봤을 때 사방에는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다면 아마도 당신은 길을 잃어 버렸을 것이다. 이것은 언제 어디서나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그렇다면 당신은 빠져나가는 길을 찾아야 한다. 어떻게 빠져나갈까? 나무에서 자라는 이끼를 찾을까? 어두워질 때까지 기다려서 빛나는 별을 관찰할까? 아니면 단순히 구조대를 기다릴까? 순간적을 여러 가지 생각을 할 것이다.
  당신은 분명 넓은 숲 속의 한쪽 부분에 머물러 있으며 그 장소가 어디인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는 후방교회법을 이용하면 내가 서 있는 위치를 알 수 있다. ① 먼저 두 개의 지표를 선택하고 지도에서 이들을 찾는다. ② 각각의 지표를 향하여 travel arrow의 방향을 가리키게 하고 적색 바늘의 끝이 dial상에서 N을 가리킬 때까지 나침반 다이얼을 회전시킨다. 그런 다음 나침반의 분도반(分度盤)에서 방위각을 읽자. ③ 지도 위의 목표물에 나침반의 긴 변 앞쪽을 대고 나침반을 돌려 자북선과 북방지시선이 평행하도록 맞춘 후 긴 변을 따라 선을 긋는다.(이때 자침의 방향은 무시) 이때 두 선이 만나는 교차점이 지도상의 자기 위치가 된다.

6. 오리엔티어링
 
등산이나 산악훈련을 해본 사람들은 어느 정도 지도를 읽는 습관이 몸에 베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보통사람들은 지리를 잘 아는 Guide의 안내를 받아 산행을 하기 때문에 혼자서 지도를 보면서 목표물을 찾아가는 일은 거의 없다. 그러나 오리엔티어링(Orienteering)은 자기 혼자 지도와 나침반을 들고 산 속의 여러 지점을 통과하여 최종 목적지까지 정해진 시간 내에 찾아가는 것을 말하는데, 줄인 말로 OL이라고 하며 이것은 독일어의 Orientierungs Lauf에서 유래되었다. OL을 우리말로 표현하면 '목표 정하고 달리기''방향 정하고 달리기'라고 할 수 있으며 유럽에서는 인기 스포츠의 일종으로 확산되고 있다. 오리엔티어링은 지도와 나침반을 이용하여 목표지점까지 도달하는 매력적인 스포츠이다. 지금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세계적인 championship game이 매년 활발하게 개최되고 있다. 참가자들은 숲 속에 표시된 황색과 백색 깃발로 지정된 체크 포인트를 찾아야 한다. 출발점에서부터 목표하는데 종종 더 빨리 달리는 경쟁자와 치열한 경쟁을 띠기도 한다.
  모든 것을 혼자서 결정하여 목표물을 찾아가는 OL은 코스를 빨리 판단할 수 있는 머리와 강건한 체력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숲 속에는 길이 없다. 지도를 보고 인근의 지형 지물과 식생 상태를 빨리 파악 해야되며 무수히 많은 코스 중에 자기에게 가장 적합한 코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정된 시간 내에 목표 지점에 도달하기 위하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코스를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코스는 계곡과 능선을 가로지르는 불확실한 코스이지만 길을 잃고 정확히 갈 수 있는 코스는 시간이 좀 많이 걸리더라도 능선 길을 택하는게 무난하다. 이럴 때 과연 어느 코스로 가야할 지 순간적으로 결정해야 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 시간에 쫓기고, 가시나무에 찔리고, 덩굴에 발이 걸려 넘어지고, 진흙 수렁에 발이 빠지고, 찾아 가야할 목표는 아득하고 걱정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뒤에서는 자기보다 늦게 출발한 경기자가 따라와서 급히 추월 해 가는데 혼자만 우두커니 서서 결정을 못한다면 정말 답답하지 않을 수 없다. 숲 속에서 통과 지점을 잘못 찾아 엉뚱한 곳을 헤매거나 힘들게 왔던 길을 되돌아가야 하는 경우나 나침반을 정치했을 때 엉뚱한 곳에 와 있다는 것을 알 게 된다면 정말 난감하지 않을 수 없다. 가끔은 다른 참가자를 만나도 그들을 따라갈 수 없다. 그들도 길을 헤매고 있을지 모르며 행여나 따라 간다면 시험 치를 때 옆 사람 것을 컨닝하다가 시험을 망칠 수 있기 때문에 함부로 따라나설 수도 없다.
  이러한 OL은 산악지형에서 뿐만 아니라 물 속 오리엔티어링과 스키 오리엔티어링도 스포츠로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 보급되지 않은 곳이 많기 때문에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는 채택되지 않았지만 머지 않아 스키 오리엔티어링이 겨울 종목으로 채택될 예정이라고 한다. OL은 경기에서 우승하는데 목적을 두지 않는다. picnic이나 등산처럼 참가 그 자체가 즐거우며 맑은 공기를 마시고 중간에 잘 익은 산중과일을 따먹고 웃고 즐기는 마음으로 참가해야 한다.  현대 도시의 회색 빛 concrete을 벗으나 녹음이 푸르른 자연으로 가까이 다가가므로 머리를 맑게 하고 육체도 더욱 강건해진다.

Orienteering은 등산과는 완전히 다르다.  등산은 시간제한도 없고 중간에 반드시 통과 해야하는 지점도 없으며 힘이 들면 중간에 되돌아가도 되는 여유가 있지만 OL은 그렇지 않다.  또OL과 다르지만 빠른 걸음으로 걷는 경보(경보)도 육상경기의 일종으로 도로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운동이다.  이렇게 유럽인들은 건강을 위한 운동인 등산, 산책, Walking 등을 규칙과 규정을 만들어 OL과 경보(Walkathon)라는 훌륭한 스포츠로 발전 시켰다. 오리엔티어링의 경기규정과 진행방법 경기 참가 등은 한국오리엔티어링연맹


전방교회법

교회법이란 2개 또는 3개의지점을 이용하여 지도상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전방의 지형지물의 위치(전방 교회법)나 2개 또는 3개의 알고있는 지점이나 미지의 지점을 통하여 자기의 위치(후방교회법)를 알아내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은 대체로 지도상에 나타나 있지 않은 지형지물의 위치나 미지의 지점을 통하여 자기위치를 알아내는 데 사용한다.

    • 교회법의 종류 : 전방교회법, 후방교회법
    ※ 미지(未知)의 지점이란?
        산행중 주변에서 무수히 많이 나타나는 무명의 봉우리들을 일컫는다.

1. 전방교회법
    지도상에서 자기의 위치는 알고 있으나 알고자 하는 지점의 위치를 찾아낼 수 없을
    때 사용하 는 방법이다.

가. 지도와 나침반에 의한 방법

(1) 나침반을 사용하여 지도를 정치한다(앞의 도북선 및 자북선에 의한 지도정치
    참조).

    문) 실제 지형에서 도북선에 의한 지도정치를 한한 후 어떤 지점에 대하여 나침
    반으로 방위각을 측정했을 때 도자각만큼을 가감해야 하는가?
    답) 도자각은 적용할 필요가 없다.
    설명) 지도정치란 지도와 실제지형을 일치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도북선 및 자
            북선에 의한 지도정치가 있을뿐이며 일단 지도정치가 완료되었다는 것은
            지도상의 남북과 실제 지형상의 남북이 일치된 것이다.
            즉, 나침반이 가리키는 자북 방위각을 기준( N = 0
° = 360° )으로 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나침반으로 방위각을 측정시에는 각도표시 다이얼의
            "N"을 도수지시선(진행선방향)에 일치시킨 후 방위각 측정법에 의거 방
            위각을 측정하되 나침반에 나타난 각도를 그대로 읽거나 지도상에 작도
            하면 된다 (도자각은 적용하지 않는다).

[지도를 정치한다] 6°30'
◎ 도자각6°30'
전방 교회법(나침반) - 1


(2) 지도상에 자기의 위치를 표시한다[제1~2지점(재약산, 갈림길)=○ , 목표물=□].

전방 교회법(나침반) - 2


(3) 나침반으로 알고자 하는 지점에 조준 후 방위각을 측정한다.
     (예) 재약산에서 알고자 하는 지점인 간월산 앞에 있는 봉우리(약930m)의 방위각은
     86。30′이다.

전방 교회법(나침반) - 3


(4) 앞(3)번에서 측정된 나침반의 방위각 86。30′을 그대로 유지한 채 지도 위에 놓고
     나침반 기판의 양옆 긴 변 중 한 변의 뒷부분(진행화살표 반대쪽)을 제1지점(재약산)
     에 맞추고 북방지시화살표에 적침을 일치시킨후 지도상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
     분도기 사용 : 보다 정확하게 교회법을 작도하고자 할 때에는 분도기를 사용하면 된
     다.
     이때 자북선이 그어져 있지 않을 때에는 자북 방위각을 도북 방위각으로 환산하여야
     한다. 즉, 86。30′- 6。30′=80。00′이 도북 방위각이다.

전방 교회법(나침반) - 4

(5) 알고자 하는 지점이 보이는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여 앞의 (3)에서 (4)까지 내용대로
    반복한다. )
     (예)재약산 ─ 알고자 하는 지점까지의 방위각은 95。00′이다.

전방 교회법(나침반) - 5

(6) 앞(5)번에서 측정된 나침반의 방위각 95。00′을 그대로 유지한 채 지도 위에 놓고,
     나침반 기판의 양옆 긴 변 중 한 변의 뒷부분(진행화살표 반대쪽)을 제2지점(갈림길)
     에 맞추고 북방지시화살표에 적침을 일치시킨후 지도상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
     (분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앞 (4)번을 참고하면 된다).

전방 교회법(나침반) - 6

(7) 위 두 직선의 교차점이 알고자 하는 지점의 지도상의 위치가 된다.
    ◎ 보다 정확성을 기하고자 할 때는 제 3의 지점으로 이동하여 앞에서 설명한
        순서대로 반복 실시한 후 3개의 직선이 한 점에 일치되면 지도상 정확한 위
        치가 되지만 만약 삼각형이 형성되었을 경우 삼각형이 작을 때는 대략적인
        위치를 알 수 있으나 삼각형이 클 경우에는 측정이 잘못된 것이니 “가”의
        작업 (3)~(4)순서대로 다시 실시한다.

전방 교회법(나침반) - 7

※ 주의: 삼각형의 중앙을 정확한 위치라고 추정해서는 안된다.

나. 분도기를 이용한 전방 교회법 작도 요령
    (예) 재약산 및 간월산에서 알고자 하는 지점이 능동산이라고 가정했을 때
           (도자각 6。30′일 때)

(1) 실제 지형에서 나침반에 의하여 측정된 방위각
    ① 재약산 → 능동산=약 45° 30′ ② 간월산 → 능동산=약 337° 30′
     

다. 전방 교회법 요약

(1) 실제 지형에 가서 지도정치를
     한다.
(2 ) 지도상에 자기가 알고 있는 “제 1
     지점” “제 2 지점”을 표시한다.


전방 교회법 요약 - 1


전방 교회법 요약 - 2

(3) 제 1 지점에서도 알고자 하는 지
     점의 방위각을 잰 후 지도상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

(4) 제 2 지점에서 알고자 하는 지점
     의 방위각을 잰 후 지도상에 연필
     로 선을 긋는다.


전방 교회법 요약 - 3



전방 교회법 요약 - 4

(5) 두 직선이 교차하는 지점이 알고자 하는 지점의 지도상 위치다.
A=제 1 지점 B=제 2 지점
C=알고자 하는 지점
전방 교회법 요약 - 5


후방교회법

    지도상에 자기의 위치를 모를 때 이용하는 방법으로 2개 또는 3개의 미지(未知)의 지점이나 찾기 쉬운 지형지물 또는 이미 알고 있는 산봉우리 및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자기의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산행 중 현재의 자기 위치 확인시 사용되며 지도와 나침반 및 곧은 자에 의한 방법이 있다.

※ 후방 교회법이나 전방 교회법에서 알고 있거나 찾기 쉬운 산이나 봉우리들을
     예로 들었지만 실제 산행에서는 이름이 없는 무명의 봉우리들에 의하여 전·후
    방 교회법이 실시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후방 교회법에서 현재 위치 파악은 대체로 2개 이상의 지점을 선정하게 되
    는데, 산행 중 주변 지형에서 눈으로 식별이 가능한 미지의(봉우리)지점을 확인
    한 후 지도상에도 그 지점이 나타나 있는지 확인한다.

    대략적인 확인이 끝나면 선정된 2개의 미지의 지점에 대하여 나침반으로 방위
    각을 측정한 후 지도상에 두 선을 교차시켜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두 지점을 안다는 것은 지도와 나침반에 의하여 알게 된 지점. 즉, 미지
    의 지점일 뿐, 기타 어떠한 경험이나 인지에 의한 것은 아니다.

    아울러 후방 교회법에서 대체로 2개 이상의 지점을 교차시켜 자기의 위치를 확
    인하는데 지도정치를 정확히 한 상태에서 미지의 지점에 대한 방위각을 정확하
    게 측정할 수 있다면 1개의 지점으로도 현위치 파악이 가능하다.

가. 지도와 나침반에 의한 방법

(1) 나침반을 사용하여 지도를 정치한다.
    ※지도를 정치하였다는 것은 도자각만큼을 적용한 것이므로 여기서 도자각은
       생각할 필요가 없다.

  6°30'
◎ 도자각6°30'
후방 교회법(나침반) - 1


(2) 지도를 정치한 후 지도상에 산봉우리 또는 현저한 지형지물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자기의 현재 위치에서 실물이 보이는가를 확인하여 식별이 가능한 미지
     의 지점이나 이미 알고 있는 지점에 대하여 2~3개의 위치를 표시한다.
     알고 있는 지점(미지의 지점) = □ , 쪾자기의 현재 위치(현위치) = ○
      예) 영남 알프스〔사자봉(천황산), 간월산, 능동산 일원〕

후방 교회법(나침반) - 2


(3) 나침반을 들고 지도상에 표시한 제 1의 지점에 대하여 조준 후 방위각 측정법
    에 의하여 방위각을 측정한다.
    예:사자봉(천황산)에서 능동산으로 이동 중 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할 때
    현위치 → 966봉=방위각 약 98。30′으로 측정되었다.

후방 교회법(나침반) - 3


(4) 앞(3)번에서 측정된 나침반의 방위각 98。30′을 그대로 유지한 채 지도위에 놓
    고, 나침반 기판의 양옆 긴 변 중 한 변의 앞부분(진행화살표 방향)을 제 1 지점
    (966봉)에 맞추고 북방지시화살표에 적침을 일치시킨후 지도상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

후방 교회법(나침반) - 4


(5) 지도상에 표시한 제 2 지
     점(간월산)에 대하여 조준 후 방위각을 측정한다.
     현위치 → 간월산=방위각 약 133。00′으로 측정되었다.

후방 교회법(나침반) - 5


(6) (4) 앞(5)에서 측정된 나침반의 방위각 133。00′을 그대로 유지한 채 지도위에
    놓고, 나침반 기판의 양옆 긴 변 중 한 변의 앞부분(진행화살표 방향)을 제 2 지
    점(간월산)에 맞추고 북방지시화살표에 적침을 일치시킨후 지도상에 연필로 선
    을 긋는다.

후방 교회법(나침반) - 6


(7) 이 선들의 교차점이 자기의 위치가 된다.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관측이 가능한 제 3 의 지점을 지도상에 표시 후 방위
    3개 지점을 이용하여 3선이 교차될 때 오차가 생기면 삼각형이 형성되는데 삼
    각형이 클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방법을 재실시해야 한다.

후방 교회법(나침반) - 7


나. 후방 교회법의 요약

(1) 실제 지형에 가서 지도를 정치한다

(2) 실제 지형에서 관측이 가능한 알고
     있는 지점이나 미지의 지점 2∼3개
     를 선정하여 지도상에 표시한다.

후방 교회법 요약 - 1





후방 교회법 요약 - 2
(3) 교회를 향하여 방위각을 잰 후 지도
     상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
(4) 저수지 끝부분을 향하여 방위각을
     잰 후 지도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

후방 교회법 요약 - 3



후방 교회법 요약 - 4



(5) 두 직선이 교차하는 지점이 자기가
     서있는 현위치가 된다.
A=제 1 지점 B=제 2 지점 C=현위치


후방 교회법 요약 - 5